안녕하세요. 저는 다년간 GTAW 용접사로 일을 해왔고, 현재는 평택 삼성전자 건설현장에서 TPI로서 용접검사 및 설비검측 업무를 하고 있는 이재문 입니다. 

 

막상 운이 좋아 시험에는 합격 했지만 아직 턱없이 부족한 실력에 후기를 작성하려 하니 조심스러움이 앞섭니다.

 

하지만 저도 합격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큰역할을 했고 저또한 조금이나마 도움드릴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 싶어 제가 시험보기전 가졌던 궁금증에 대해서 저는 이렇게 해봤습니다 정도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제가 시험보기전 궁금했던 내용은 3가지
1. 얼마나 공부를 해야 할까?
2. 어떤 교재를 봐야할까?
3.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할까?
였습니다.

 

1) 얼마나 공부를 해야 할까?

저는 이렇게 생각을 했습니다.
얼마의 기간을 정하는가가 중요하기 보다는
명확한 기간을 세우고 목표에 다다를 수 있는 행동을 하는것이 중요 하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면 너무 길고 지치는 싸움이 될것같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34회 필기 공부기간 : 24년 2월 ~ 7월(6개월)
134회 면접 공부기간 : 24년 10월(1개월) 
135회 면접 공부기간 : 25년 2월~4월(3개월)

 

공부기간은 당연히 사람마다 처해진 상황마다 다르겠지만 
평일 퇴근 후 2시간 이상 공부할수 있고 주말에 공부에 매진 할수 있다면 
6개월 정도면 도전은 해볼수 있겠지라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새벽 출근 용접일이 육체노동이라 퇴근 후에 한두시간 공부하기가 너무 벅찼고 
야근과 주말 근무도 많았기에 공부량이 턱없이 부족했습니다. 
저에게는 일하면서 6개월 공부는 불가능 하다고 판단이 섰고 
선택과 집중이 필요 했습니다.

"목표기간의 재설정 VS 목표기간에 맞는 행동"

저는 목표기간에 맞는 행동을 선택했습니다.
퇴사를 선택했고, 남은 한달 반동안 하루 8시간씩 공부에 집중했습니다. 

 

134회 필기(72.75점) 합격
134회 면접(55점) 불합격
135회 면접(73점) 합격


2) 어떤 교재를 봐야할까?

제가 봤던 교재는
"용접기술사 총정리 - 윤경근"
"테크노넷 교재"
"Hi-Pass 용접기술사 - 김순채"
였습니다.

 

지인이 공부했던 책을 받았는데 
출간한지 몇년이 지난 "용접기술사 총정리 - 윤경근" 이라는 책 이였습니다.
멋모를때라 나온지 몇년 지났다는게 영 마음에 걸렸습니다.
그래서 욕심에 가장 최근에 발간한 책이 더 좋을거야 라고 생각해서 
"Hi-Pass 용접기술사 - 김순채"를 구매해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이책은 기출문제 풀이 형식이라 
설명이 너무 부족했고, 한문제 한문제 풀때마다
이것저것 찾아보고 이해하느라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기본지식부터 쌓아야 하는 저에게는 맞지가 않았습니다. 

 

그제서야 지인이 준 책을 살펴보니 
이 책은 분야별로 잘 나누어져 있고 설명이 자세히 되어있어서 
차근차근 기본지식을 쌓을 수 있었고
공부하기가 수월하였습니다

하여 이 책을 주교재로 삼아 공부하였고, 테크노넷 교재는 나중에 받았어서 참고용으로 공부했습니다.

 

저처럼 기본지식부터 공부가 필요하시다면 
기출풀이 형식의 책보다는 목차가 잘 나누어져 있고 
설명이 주가되는 교재를 선택하는것이 더 좋을것 같습니다.

저는 주교재를 바탕으로 관련논문과 유툽, 블로그, 쳇GPT등을 통해 
검색용 서브노트를 정리하였고, 서브노트를 바탕으로 기출문제 풀이를 하였습니다. 

필기와 면접 한달전 부터는 기출답안 정리한거 위주로만 공부 했습니다.


3)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할까?

기술사 시험은 마치 망망대해인것 같았습니다.
배는 띄워 놨는데 이 방향으로 가는게 맞는건지 도무지 방향을 잡기가 힘들었고 
이해 안가는 문제에 막힐때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시간만 낭비했습니다.

 

저에게는 빠른길로 갈수있는 길잡이가 필요했고
막혔을때 넘어설수 있게 해주는 조력자가 필요했습니다

 

저는 가야할 방향을 테크노넷 강의를 통해 잡을수 있었고, 
막히는 문제가 있을때는 네이버 "Welding Forum" 카페를 통해 넘을수 있었습니다

 

강의를 통해
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제 이쯤되면 나올법한 문제 위주로 
공부의 방향성과 우선순위 등을 파악할 수 있었고
필기 및 면접시험을 보기위한 노하우 등도 얻을수 있었습니다.

카페를 통해서는
이해 안가는 문제가 생길때 마다 카페에 질문을 해가면서
여러 선배기술사님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필기시험의 경우
저는 전공이 이분야가 아니고 용접만 했던지라 기본지식이 너무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테크노넷 강의를 통해 전반적인 지식을 쌓는데 도움을 받을수 있었고, 
유튜브 "박정현-금속재료기술사"님의 강의를 통해 
금속재료와 야금학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주교재와 강의를 통해 어느정도 감을 잡은 후
주교재, 서브노트, 논문, 검색, 챗gpt 등을 이용해
기출문제에 대해 제 나름의 모범답안을 정리하였습니다. 
기출문제 정리는 문제가 요구한 답 뿐만 아니라 
변형되어서 나올 만한것까지 같이 정리 하였습니다. 
대략 150문제 정도 정리한거 같습니다.

 

정리는 실제 시험지를 프린터해서 개요 본론 결어 형식으로 정리하였고 
1교시 문제를 대비해서는 1페이지 정도로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였고
2,3,4교시 문제를 대비해서는 3~4페이지 정도로 맞춰서 정리 하였습니다.
그림이나 표가 필요한 문제는 넣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정리가 끝난 다음부터는 실제 시험지로 무한 반복 쓰는 연습을 했고 
어느정도 스스로 답변이 가능할쯤 부터는 시간을 재가며 쓰는 연습을 했습니다.

 

필기시험은 운이 정말 좋았던것 같습니다.
거의 기출문제 정리한거에서 출제가 되어서 
시간 분배해가며 시험을 잘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면접시험의 경우
134회때 그간 출제 되었던 면접기출문제 위주로만 준비했다가 낭패를 봐서
135회때는 전체적인 내용을 다시 공부한다는 느낌으로 준비하였고, 
협회지 등을 통해 최근 동향 까지 정리 하였습니다.

 

135회 면접 역시나 운이 너무 좋았습니다.
면접관님 들께서 저의 이력카드를 살펴 보시고
저의 커리어에 비추어 질문을 해주셨기에
설사 요구한 대답이 아니거나 혹은 조금 부족한 답변이였을 지라도
최선을 다해 대답을 할 수 있었고 
큰 어려움 없이 면접을 마무리 할수 있었습니다.

 

135회 면접질문
1. 용접기호문제
-> K형 그루브 양면용접 용접치수와 개선각도를 주고 용접된 형태를 그려봐라
2. 용접기호문제
-> 용접 기호는 AWS규격과 ISO규격이 있는데 당신의 현장에서는 어떤 규격을 따르며 그 차이는 무었인가?
3. 304와 316의 합금원소의 차이를 설명하고 그 차이로 인해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가?
5. 304, 316과 304L, 316L은 무슨 차이이고 그 차이로 인해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가?
6. 304와 316의 응고모드 차이를 설명하고 그 차이로 인해 어떤 특성의 차이가 있는가?
-> 그럼 균열감수성 측면에서는 어떤게 더 유리한가?
7. 용접균열감수성에 대해서 아는대로 설명해봐라
8. 땅속에 묻혀있는 배관이 파괴가 발생했을시 어떤 원인이 있을 수 있나?
9. 재열균열의 정의, 특징,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
10. 용접사가 WPS를 지키지 않고 용접했는데 용접부에 문제가 없었다. 어떻게 할래?
11. 결정립 미세화 방법

 

아래는 제가 공부하는 동안 많은 도움이 되었던 강의 및 카페, 유튭, 블로그 입니다.
-테크노넷 강의
-Welding Forum 카페
-유튜브 (금속재료기술사 - 박정현)
-유튜브 (용접기술사 - YONGSEOK)
-블로그 (완성형 엔지니어를 향해 - 줘니)
-블로그 (소재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 Welding -   갱상도 촌놈)

 

기술사는 혼자서 고민하며 공부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들어가고 지칠수 있는 시험인것 같습니다. 
혼자만의 싸움을 하시기 보다는 도움 받으며 공부할수 있는 방법들이 많이 있으니 
적극 활용해 보는것도 좋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육 정보

용접기술사 강좌 (신규)

전문가로서 현재의 위치를 공고히하고, 평생 직업인으로서 인생 2막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총 16주간의 온라인 강좌를 통해 용접기술사 취득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탄탄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최...

교육 바로 가기

(주)테크노넷|대표. 이진희|사업자등록번호. 757-88-00915|이메일. technonet@naver.com|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진희

대표전화. 070-4709-3241|통신판매업. 2021-서울금천-2367|주소.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 1차 401호

Copyright ⓒ Techno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