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에서 몰려든 다양한 경력과 배경의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입사 면접에 참여하면서 느낀 점을 정리해 봅니다.

그들의 이력서만 보면 엄청난 경력과 자격증에 놀라게 되고 , 면접관인 내가 도리어 어떤 질문을 해야 할지 긴장하면서 면접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미리 예상 질문지도 만들어 보고, 면접 직전에 나눠주는 개개인의 이력서도 급하지만 꼼꼼하게 읽어 보고 준비를 합니다.

 

이력서

저도 한국에서는 나름 이력서를 잘 쓴다고 평을 들었고, 신입 사원 교육 할때에도 저의 이력서를 보여 주면서 적어도 6개월에 한번씩은 각자 이력서를 고쳐서 써 보라고 조언을 했습니다. 그리고 만약 6개월이 된 시점에 뭔가 이력이건 경력이건 고쳐서 쓸게 없다면 스스로 반성을 해 보라고 조언도 했습니다.

농담으로 어느날 갑자기 아주 좋은 회사에서 너를 스카웃 핱테니 이력서를 보내라고 하면 어떻게 할 거냐... 그걸 대비해서 늘 미리 준비해 놓으라고 조언했습니다.

참고로 한국인의 이력서는 주인등록 등본과 같이 이직한 이력만 잔뜩 적어 놓은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런 이력서는 아예 검토 대상에서 제외입니다.

 

다국자들의 이력서를 보면 우선 그 분량에 놀라게 됩니다.

10페이지는 기본으로 넘어 가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지난 시간 수행한 업무의 세부적인 내용까지 아주 꼼꼼하게 관리합니다.

문제는 그 세부 내용에 너무 많은 뻥튀기가 들어 있다는 점이 아쉽기는 한데, 그래도 그렇게 정리하는 것을 보면 참 대단하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그 이력서를 보는 것 만으로도 상대방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면접 - 자기 소개

어느 면접이나 다들 비슷하겠지만, 우선 회사와 일하게 될 부서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를 하고, 지원자의 자기 소개 기회를 편하게 부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앞서 이력서 만으로도 면접관을 압도할 수준의 내용들이 얼마나 과장된 부분이 많았는지에 대해 조금은 파악이 되기도 합니다.

영어는 다들 엄청 잘 하지만, 한국의 사투리 처럼 각 나라 별로 출신 별로 사용하는 단어의 조합이나 발음을 정말 다양하기에 주의해서 들어야 합니다. 

 

면접 - Technical

여기에서 부터 면접관의 입장에서 참 안쓰럽고 피곤한 상황이 벌어집니다.

화려한 경력으로 치장해 놓은 본인의 이력을 기반으로 기술적인 질문을 하게 되는데, 어제 하루 6명의 면접이 진행되었으나, 단 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모두 본인이 써 놓은 내용에 대한 설명도 제대로 못합니다. 결국 많은 내용이 서로 다른 사람의 이력서를 보면서 스스로 자기를 돋보이기 위해 과장한 것이지요.

본인의 이력에서 경험이라고 적어 놓은 내용의 기술적인 사항을 질문하는데, 아주 기본적인 내용 조차도 제대로 답을 못하는 상황을 보면서 약간은 어이가 없기도 합니다. 이력이라고 적어 놓고 관련 분야의 기본적인 업무 내용도 제대로 설명 못한다면 그건 그냥 옆에서 구경한 것이지요.

누군가 농담으로 인도인들의 이력에는 본인 거주지 근처에 정유 공장이 있으면 자기가 거길 다녔다고 적는다고 들었는데, 실제로 그런 수준의 과장을 어렵지 않게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면접 - General

저는 면접 맨 마지막에 늘 지금까지 지원자 수행한 업무나 살아오면서 가장 보람있고 좋았던 성취의 기억이 뭐냐고 물어 봅니다.

좋게 얘기하면 마지막으로 기회를 줄테니 본인을 Appeal 해 보라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이 시간을 제대로 채우는 사람도 별로 흔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당황하고 제대로 대답을 못하고 우물쭈물하다가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왜 자랑할 게 없을까요?  혹은 왜 자랑할 것을 준비하지 않을까요?

저는 위에 언급한 것 처럼 결국 이력서에 적어 놓은 게 본인의 경력이 아니기에 자랑할 게 없었다고 봅니다.

 

면접 - 지원자의 질문

지원자가 회사에 대해 궁금한 것을 질문하라고 시간을 줍니다.

제가 한국에서 면접을 보면, 대개 기본적인 처우 정도만 간단하게 질문하고는 그저 뽑아만 주면 열심히 하겠다는 대답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여기도 기본적인 상황은 비슷한데, 질문의 내용이 지원자 개인에 대한 내용 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처우와 지원 사항에 대한 질문이 많이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한국에서 모 회사에서 스카웃 제안을 받고, 최고 경영자와의 면접에서 이렇게 얘기를 주고 받았습니다.

회사: 좋은 인연이 될 것으로 믿습니다. 우리 회사에 와서 어떻게 일 할 것인지 본인의 포부를 밝혀 주세요

나 : 저야 당연히 짤리지 않고 성과로 인정 받을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할 것인데, 회사는 아직 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portfolio를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저를 어떻게 쓰실 계획인지요?

결국 저는 그 회사와는 인연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만, 여기서 지원자들은 위와 같은 내용의 질문을 많이 합니다.

 

오래전에 신입 사원 면접시 공통 질문중에 본인이 가장 어렵고 힘들었을 때가 무엇이었고, 그걸 어떻게 극복했는지를 얘기해 보라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그 질문을 받고 일부 지원자들이 울먹이면서 본인의 경험을 얘기하는데, 감동 받아서 함께 있던 면접관과 상의하여 그 지원자에게 높은 점수를 주었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울먹이면서 본인의 이야기를 하는 지원자가 몇 사람 더 있길래 좀 의아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면접 채점지를 수거해 가는 인력팀 담당자에게 좀전의 사례를 얘기하면서 그 친구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면접 평을 얘기했더니... 인력팀 담당자가가 웃으면서 한 얘기가 생각납니다.

'요즘 애들은 언제 울먹여야 하는지를 미리 연습하고 온다고...'

 

그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이나 외국이나 나이먹은 경력자들은 면접을 준비하는 Strategy가 없는 것 같은 아쉬움이 듭니다.

 

테시 2022-12-26 16:27

칼럼을 보면서 느낌전이 많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6개월 정도에는 한번 하고는 했었는데. 

세부적인 업무와, 그에 대한 디테일, 또 그것을 뒷받침하는 경험과 자격증이 필수 인 것 같습니다. 

확실히 PJT을 하다가 본사에 들어오고 Routine한 업무를 하면서 이력서 update가 어려워 지고 있는데 많은 걱정과 깨달음이 있습니다. 

 

좀 더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회사에 가기 위해 여러가지 조건들이 필수 인 것 같습니다. 면접 기회라도 나중에 주어지면 좋겠습니다. 

좋은 칼럼 매번 감사합니다. 

(주)테크노넷|대표. 이진희|사업자등록번호. 757-88-00915|이메일. technonet@naver.com|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진희

대표전화. 070-4709-3241|통신판매업. 2021-서울금천-2367|주소.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 254 월드메르디앙 1차 401호

Copyright ⓒ Technonet All rights Reserved.